경기도교육청(교육감 이재정)은 2016년 1월부터 ‘교육시설관리센터’를 시범 운영할 계획이라고 5일 밝혔다.
교육시설관리센터는 학교시설환경의 복잡화, 현대화, 공무원 직종 개편으로기능직인 방호ㆍ조무직렬이 폐지되고 시설관리직렬 일반직으로 전환 등의 변화에 따라 학교시설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설치된다.
교육시설관리센터는 11월 중으로 공모를 통해 시범사업 지역을 선정하고, 2016년 1월부터 3개 교육지원청에 설치ㆍ운영할 계획이다.
센터는 연간 단가계약제도 도입, 통합 발주, 순회 점검 과 상담 업무 등을 맡게 되며, 이를 통해 각급 학교에서는 기존보다 신속한 시설보수가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예산 절감 및 학교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로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연간 단가계약은 학교의 1천만원 미만 소규모 수선을 대상으로 도입되며 기존 일반계약보다 절차가 간소화돼 학교시설의 신속한 시설보수가 가능하다.
연간 단가계약은 분야별 업체를 미리 선정한 후 수선 발생 시 선(先)처리 후(後)정산하는 개념으로, 한전 및 지자체는 신속한 보수를 위해 가로등, 신호등 관리에 도입해 운영 중이다.
통합 발주는 학교에서 요청하는 법정 용역 계약 및 시급성을 요하지 않는 사업을 대상으로 추진할 예정이며 예산 절감 및 학교 업무 경감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학교현장 순회 점검 및 상담 접수를 운영해 학교시설관리 기술 자문, 긴급 시설 점검, 하자 관리 등 학교시설관리지원 서비스도 제공한다.
경기도교육청 관계자는 “교육시설관리센터 운영으로 학교시설물 문제 발생시 즉각적인 조치가 가능해지고, 시스템 구축을 통해 중·장기적 시설관리 유지관리 예산이 절감되는 효과를 거두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