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한규 부천시 부시장이 15일 중국 항주시에서 열린 ‘제1회 유네스코 글로벌 학습도시 네트워크 회의’에서 ‘새로운 100년: 공간, 내용 그리고 참여(A New 100 Years: Space, Content & Participation)’라는 주제로 부천시 학습격차 해소를 위한 3가지 혁신안을 소개하고 있다. 2016.11.15 사진= 부천시청 제공
| AD |
부천시가 15일과 16일 이틀간 중국 항주시에서 열리는 ‘제1회 유네스코 글로벌 학습도시 네트워크 회의(The first International Meeting of the UNESCO Global Network of Learning Cities)’에 참가한다.
15일 시 평생교육과 평생학습팀에 따르면 ‘지속가능성을 향한 학습도시의 노력(Learning Cities Working Towards Sustainability)’이란 슬로건을 내건 이번 회의는 유네스코 평생학습연구소(UNESCO UIL) 관계자를 비롯해 한국, 중국, 아르헨티나, 에티오피아, 아일랜드, 핀란드, 덴마크, 요르단, 미국, 그리스, 영국, 브라질, 우크라이나, 이란, 이스라엘, 온두라스, 터키 등 17개국 40개 도시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다.
우리나라에서는 부천시를 비롯해 고양시, 광명시, 수원시, 오산시, 서울 관악구, 충남 당진시 등 7개 지자체가 참가했다.
안 칼슨 유네스코평생학습연구소장의 기조연설을 시작으로 이틀간 세계 40개 평생학습도시 대표들이 ▲도심과 비도심 간 학습 자원 활용 방안 ▲학습도시 구축을 위한 효과적인 정보통신기술 활용 ▲학습도시 구축을 위한 모니터링 및 평가 ▲학습도시를 위한 법률 체제 구축 등 4가지 이슈별로 참가도시 현황과 성과를 공유한다.
이한규 부천시 부시장은 회의 첫 날인 15일 우리나라 참가 도시 중 첫 번째 발표자로 나서 ‘새로운 100년: 공간, 내용 그리고 참여’(A New 100 Years: Space, Content & Participation)라는 주제로 부천시 학습격차 해소를 위한 3가지 혁신안을 소개했다.
이한규 부시장은 △우리동네 학습공간 △인생학교 △찾아가는 배달 강좌 △퇴근 학습길 등 주요사업의 에피소드도 함께 소개해 세계 각국에서 참여한 관계자들의 큰 관심과 갈채를 받았다.
이한규 부시장은 “지속가능한 학습도시 구축을 위한 세계 여러 도시의 성공 사례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이번 회의를 통해 우리 시가 세계적인 평생학습도시로 성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한편, ‘유네스코 글로벌 학습도시 네트워크’는 유네스코가 세계적인 협력 체계를 구성해 학습도시의 지속적인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해 9월 멕시코시티에서 열린 ‘제2차 학습도시 국제회의’에서 출범했다.
올해 8월 현재 ‘유네스코 글로벌 학습도시 네트워크’에는 28개국 115개 도시가 가입해 활동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부천시를 비롯해 남양주시, 수원시, 광명시, 고양시, 오산시, 서울 관악구, 전주시, 충남 당진시 등 17개 도시가 가입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