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일선 학교소식
부천교육지원청
경기도교육청
교육 현안
인사ㆍ동정
책ㆍ도서관
대학교
교육단체
대학수능
고입
평생학습
학원가

탑배너

부천시,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 ‘문학도시’ 도전
동아시아 최초로 ‘문학 창의도시’ 가입 여부 주목
국내 심사 통과 이어 6월 국제 심사… 10월 결정 
더부천 기사입력 2017-02-22 10:37 l 강영백 기자 storm@thebucheon.com 조회 7785


수주 변영로 시인

| AD |

부천시가 동아시아 최초로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문학도시)’에 도전한다.

22일 부천시립 상동도서관 독서진흥팀에 따르면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는 각국 도시들 간 연대를 통해 경제ㆍ사회ㆍ문화적 발전을 장려하는 국제 네트워크로, 유네스코가 2004년부터 세계 각국 도시를 심사해 창의도시로 지정하고 있다.

시는 지난해 12월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문학도시) 가입에 따른 국내 심사를 통과했으며, 국제 심사는 오는 6월 시작될 예정으로, 유네스코 본부 심사와 이미 가입된 20개 유네스코 문학도시의 동료 평가를 거쳐 오는 10월 최종 가입 여부가 결정된다.

시는 1960년대 전원도시에서 1970~80년대 공업도시, 1990년대 이후 문화예술의 도시로 성장해왔으며, 만화ㆍ영화ㆍ음악 등 부천의 대표적인 문화예술 콘텐츠 뿐 아니라 문학도시의 자산도 갖추고 있다.

부천은 변영로, 정지용, 양귀자 등 다수의 문학인들이 작품 활동을 하는 등 문인들의 발자취가 남아 있다.

주요 문인은 신시(新詩)의 선구자 변영로로, 자신의 호를 부천의 옛 이름을 따서 수주(樹州)라고 했고, 서울에 거주할 때에도 주소는 부천에 두었으며, 부천의 고향집 뒷산에 묻혔다. 부천 중앙공원에도 시비가 있고 그의 호를 딴 수주대로에는 기념 동상이 있으며, 수주문학상도 매년 시상하고 있다.

한국 현대시의 아버지라 불리는 정지용 시인도 부천과 인연이 있다. 가톨릭 신자였던 정지용은 공소만 있던 부천에 신부를 모셔왔고 이를 본당으로 승격해 부천 최초의 성당을 창립하는데 앞장섰으며, 그가 살았던 소사동 89-14번지에는 기념푯돌이 세워졌고 부천중앙공원과 소사본동 행정복지센터 앞에는 시비가 있다.

한국아동문학가협의회 부회장을 지낸 아동문학가 목일신은 1960년에 부천으로 이사를 와서 1986년 생을 마감할 때까지 살았다. 그의 작품 중 ‘자전거’, ‘자장가’, ‘비눗방울’, ‘아롱다롱 나비야’, ‘산비둘기’, ‘참새’, ‘시냇물’, ‘물결은 출렁출렁’ 등 수많은 작품이 초등학교 교과서에 실렸다.

부천 중앙공원에 노래비가 있고, 범박동에는 그의 이름을 딴 일신초등학교와 일신중학교가 있다.

소설가 양귀자 씨도 연작소설집 ‘원미동사람들’에 수록된 단편소설 ‘일용할 양식’은 2003년 중학교 3학년 국어교과서에 실렸다.

부천은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여류 소설가 펄벅(Pearl S. Buck) 여사와도 인연이 깊다. 펄벅 여사는 1967년 부천시 심곡본동에 보호자가 없는 혼혈인과 일반인을 위한 복지시설인 소사희망원(Sosa Opporunity Center)을 건립해 1999년 펄벅 인터내셔널 한국지부(Pearl S. Buck International Korea)가 됐고, 현재 펄벅기념관이 건립돼 매년 펄벅축제가 열리고 있다.

사진= 부천시립 상동도서관 제공


정지용 시인의 거주했던 소사동에 있는 기념표석.


중앙공원에 있는 정지용 시비.


아동문학가 목일신.


범박동에 있는 목일신 기념조형물.


소설 '원미동사람들'의 저자 양귀자.


양귀자의 연작소설집 '원미동사람들' 표지.


펄벅 여사와 소사희망원 아이들.


소사희망원 내 펄벅재단 모습.

배너
배너
<저작권자 ⓒ 더부천(www.thebucheon.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부천시민과의 정직한 소통!… 부천이 ‘바로’ 보입니다.
인터넷 더부천 www.thebucheon.comㅣwww.bucheon.me

문학창의도시 부천시, 해외 작가 위한 ‘생활 가이드’ 제작
부천시청 1층 ‘부천 유네스코 문학창의도시 홍보관’ 개관
부천레지던시 작가 ‘피에르 비지우’ 강연 성황리 개최
부천시, ‘이주민 가족 문해사업’ 추진… 문화 다양성 확대
2024 부천레지던시 해외작가 주디 퀸, 소명여고 학생들과 ‘문학 소통’
댓글쓰기 로그인

교육
· 제29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단편..
· 제29회 부천판타스틱영화제 7월 3일 개..
· ‘경기형 과학고’ 부천·성남·시흥·..
· 경기도교육청, ‘인구문제 인식개선 릴..
· 공정무역 바로 알기, 경기도 지식(GSE..
· 경기도 특사경, 휴가철 맞아 바닷가 무..
· 경기도, 고소득 체납자 603명 조사… ..
· 경기도 닥터헬기 6년 간 1천804명 살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