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17일 0시 기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진 환자가 전날(16일 0시) 대비 619명(국내 발생 597명, 해외 유입 22명)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1만6천686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1만3천498명(확진자 69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2천659건(확진자 9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3만2천843건이며 신규 확진자는 총 619명이라고 질병관리청은 설명했다.
올해 들어 신규 확진자는 191일째(지난해 11월 8일 143명 이후) 세 자릿수를 기록한 가운데, 수도권을 중심으로 확산세와 확진자 비율이 여전히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이로써 총 누적 확진자수는 13만2천290명(해외유입 8천751명)이며, 신규 격리해제자(완치자)는 399명으로 총 12만2천163명(완치율 92.34%)이 격리 해제돼 현재 8천224이 격리(치료) 중이다.
위ㆍ중증 환자는 151명이며, 사망자는 3명으로 지난 3월 13부터 5월 17일까지 66일째 한 자릿수를 기록한 가운데 누적 사망자는 1천903명(치명률 1.44%)이다.
●코로나19 백신 접종 현황(5월 17일 0시 기준)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은 백신 접종 82일째인 5월 17일 0시 기준 1차 접종자는 신규 5명으로 총 373만3천806명이 1차 접종을 받았고, 2차 신규 접종자는 4만986명으로 총 94만345명이 2차 접종까지 완료했다고 밝혔다.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의심돼 신고된 사례(5월 17일 0시 기준)는 총 2만2천199건(신규 77건)으로, 백신 접종 후 흔하게 나타날 수 있는 근육통, 두통, 발열, 오한, 메스꺼움 등 사례가 2만1천275건(95.8%)으로 대부분이었으며, 아나필락시스 의심 사례 196건(신규 0건), 주요 이상반응 사례는 신경계 이상반응 등 605건(신규 3건), 사망 신고사례 123건(신규 1건)이 신고됐다. ➡코로나19 백신 접종 관련 정보- 예방접종도우미 홈페이지(ncv.kdca.go.krㆍ바로 가기 클릭),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은 백신 접종 82일째인 5월 17일 0시 기준 1차 접종자는 신규 5명으로 총 373만3천806명이 1차 접종을 받았고, 2차 신규 접종자는 4만986명으로 총 94만345명이 2차 접종까지 완료했다고 밝혔다.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의심돼 신고된 사례(5월 17일 0시 기준)는 총 2만2천199건(신규 77건)으로, 백신 접종 후 흔하게 나타날 수 있는 근육통, 두통, 발열, 오한, 메스꺼움 등 사례가 2만1천275건(95.8%)으로 대부분이었으며, 아나필락시스 의심 사례 196건(신규 0건), 주요 이상반응 사례는 신경계 이상반응 등 605건(신규 3건), 사망 신고사례 123건(신규 1건)이 신고됐다. ➡코로나19 백신 접종 관련 정보- 예방접종도우미 홈페이지(ncv.kdca.go.krㆍ바로 가기 클릭),
밤사이 새롭게 확진된 코로나19 환자 619명(괄호 해외 유입 포함)은 서울 195명(3명), 경기 150명(2명), 강원 35명, 경남 30명, 광주 27명, 경북 27명, 충북 23명(1명), 전남 20명(3명), 대구 19명, 울산 16명, 충남 16명(2명), 제주 15명, 인천 14명(2명), 부산 12명, 전북 9명, 대전 2명, 검역 9명 등 세종을 제외한 전국 16개 시ㆍ도에서 추가 확진자와 나왔다.
특히 5월 17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 619명 가운데 수도권 지역 발생 환자는 57.99%인 359명(서울 195명, 경기 150명, 인천 14명)으로, 어제(16일) 389명(서울 213명, 경기 161명, 인천 15명) 보다 30명이 줄었지만, 수도권의 신규 확진자 비율은 여전히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서울의 누계 확진자 수는 지난해 5월 15일부터 경기도를 추월했고, 지난해 11월 20일부터 대구의 누적 확진자 수를 추월했으며, 지난해 12월 6일 확진자 수가 1만명을 넘어선데 이어, 3월 15일 3만명. 4월 12일 4만명을 넘어섰다.
경기도 누적 확진자 수도 지난해 12월 1일부터 대구의 누적 확진자 수를 추월했고, 지난해 12월 15일 확진자 수가 1만명을 넘었고, 2월 3일 2만명을 넘어선데 이어, 4월 10일 3만명을 넘어섰다.
전체 누적 확진자 13만2천290명 중 수도권 지역 누적 확진자는 ▲서울 4만1천238명(31.17%), ▲경기 3만6천919명(27.91%), ▲인천 5천955명(4.50%)로 수도권 누적 확진자는 8만4천112명으로 전체의 63.58%를 차지했다.
비수도권 지역 누적 확진자는 ▲대구 9천498명(7.18%), ▲부산 5천425명(4.10%), ▲경북 4천474명(3.38%), ▲경남 4천463명(3.37%), ▲충남 3천272명(2.47%), ▲강원 2천954명, ▲충북 2천782명, ▲광주 2천626명, ▲울산 2천384명, ▲전북 2천113명, ▲대전 1천908명, ▲전남 1천316명, ▲제주 886명, ▲세종 399명 등이며, ▲검역 3천678명(2.78%)이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5월 17일 0시 기준 ‘코로나19’ 진단 검사를 받은 사람(의사환자 누계)은 확진자를 포함해 935만3천300명이며, 이 중 97.50%인 911만9천206명이 ‘음성’ 판정을 받았다.
5월 들어서는 1일 627명, 2일 605명, 3일 488명, 4일 541명, 5일 676명, 6일 574명, 7일 525명, 8일 701명, 9일 564명, 10일 463명, 11일 511명, 12일 635명, 13일 715명, 14일 747명, 15일 681명, 16일 610명, 17일 619명으로 사흘째 600명대를 기록했다.
■경기도 코로나19 누적 확진자 3만6천919명(완치 3만4천108명ㆍ사망 617명ㆍ격리중 2천194명- 시ㆍ군별 현황- 5월 17일 0시 기준
▲성남시 3천361명, 고양시 3천80명, 용인시 2천723명, 부천시 2천516명, 수원시 2천362명, 남양주시 1천998명, 평택시 1천984명, 안산시 1천784명, 안양시 1천646명, 광주시 1천421명, 화성시 1천363명, 의정부시 1천331명, 김포시 1천202명, 파주시 1천79명, 시흥시 1천38명, 광명시 926명, 군포시 902명, 구리시 760명, 이천시 753명, 하남시 705명, 양주시 537명, 포천시 505명, 오산시 470명, 안성시 445명, 동두천시 429명, 양평군 368명, 의왕시 341명, 여주시 334명, 연천군 200명, 과천시 186명, 가평군 170명.
▲지금까지 경기도내에서 확진환자 접촉자는 총 28만460명(격리 해제 22만3천312명, 격리 치료중 5만7천148명)에 달하고 있다.
2021년 3월에는 1일 355명, 2일 344명, 3일 444명, 4일 424명. 5일 398명, 6일 418명, 7일 416명, 8일 346명, 9일 446명, 10일 470명, 11일 465명, 12일 488명, 13일 490명, 14일 459명, 15일 382명, 16일 363명, 17일 469명, 18일 445명, 19일 463명, 20일 452명, 21일 456명, 22일 415명, 23일 345명, 24일 428명, 25일 430명, 26일 494명. 27일 505명, 28일 482명, 29일 384명, 30일 447명, 31일 506명으로 144일째 세 자릿수의 신규 확진자가 나왔다.
2021년 2월에는 1일 305명, 2일 336명, 3일 467명, 4일 451명, 5일 370명, 6일 393명, 7일 372명, 8일 289명, 9일 303명, 10일 444명, 11일 504명, 12일 403명, 13일 362명, 14일 326명, 15일 344명, 16일 457명, 17일 617명, 18일 621명, 19일 561명, 20일 446명, 21일 416명, 22일 332명, 23일 357명, 24일 440명, 25일 396명, 26일 406명, 27일 415명, 28일 356명 등 114일째 세 자릿수의 신규 확진자가 나왔다.
2021년 1월에는 1일 1천29명, 2일 824명, 3일 657명, 4일 1천20명, 5일 715명, 6일 840명, 7일 869명, 8일 674명, 9일 641명 10일 665명, 11일 451명, 12일 538명, 13일 562명, 14일 524명, 15일 513명, 16일 580명, 17일 520명, 18일 389명, 19일 386명, 20일 404명, 21일 401명, 22일 346명, 23일 431명, 24일 392명, 25일 437명, 26일 354명. 27일 558명, 28일 497명, 29일 469명, 30일 458명, 31일 355명 등 86일째 세 자릿수 이상의 신규 확진자가 나왔다.
한편, 코로나19 발생 첫 해인 지난해(2020년) 국내 신규 확진자 발생 추이를 보면, 초발환자(첫 감염자) 중 한 명으로 추정되는 경기도 용인시 66번 환자(29세 남성)가 지난해(2020년) 5월 6일 확진 판정을 받은 이후 8일 12명, 9일 18명, 10일 34명, 11일 35명, 12일 27명, 13일 26명, 14일 29명, 15일 27명, 16일 19명, 17일 13명, 18일 15명, 19일 13명, 20일 32명, 21일 12명, 22일 20명, 23일 23명, 24일 25명, 25일 16명, 26일 19명, 27일 40명, 5월 28일 79명, 29일 58명, 30일 30명, 31일 39명이었다.
6월 들어서는 1일 35명, 2일 38명, 3일 49명, 4일 39명, 5일 39명, 6일 51명, 6월 7일 57명, 8일 38명, 9일 38명, 10일 50명, 11일 45명, 6월 12일 56명, 13일 49명, 14일 34명, 15일 37명, 16일 34명, 17일 43명,18일 59명, 19일 49명, 20일 67명, 21일48명, 22일 17명, 23일 46명, 24일 51명, 25일 28명, 26일 39명, 27일 51명, 28일 62명, 29일 42명, 30일 43명의 추가 확진자가 나왔다.
7월 들어서는 1일 51명에 이어, 2일 54명으로 이틀 연속 50명대 추가 확진에 이어, 3일 63명, 4일 63명, 5일 61명으로 사흘 연속 60명대의 추가 확진자가 발생해 4월초(4월 1~5일) 이후 3개월 만에 가장 많은 추가 확진자가 이어졌고, 6일 48명, 7일 44명에 이어 8일 63명, 9일 50명, 10일 45명에 이어 보름(15일) 만인 11일 35명으로 떨어졌다가 12일 44명에 이어 닷새 만인 13일 62명이 추가 확진됐고, 14일과 15일 이틀째 30명대, 16일 61명, 17일 60명, 18일과 19일 30명대, 20일 20명대, 21일 40명대, 닷새만인 22일 63명, 23일 59명, 24일 41명, 25일 113명, 26일 58명, 27일 25명, 28일 28명, 29일 48명, 30일 18명, 31일 36명을 기록했다.
8월 들어서는 1일 31명. 2일 30명, 3일 23명, 4일 34명, 5일 33명, 6일 43명, 7일 20명, 8일 43명, 9일 36명, 10일 28명, 11일 34명, 12일 54명, 13일 56명, 14일 103명, 15일 166명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면서, 16일에는 279명으로 대구·경북 중심의 1차 대유행이 정점(2월 29일 909명)을 찍었고 확산세가 거셌던 3월 6일(518명), 3월 8일(367명) 이후 161일 만에 가장 많은 숫자를 기록했고, 17일 197명, 18일 246명, 19일 297명, 20일 288명, 21일 324명, 22일 332명, 23일 397명(3월 7일 483명- 전원 지역 발생 이후 169일 만에 가장 많은 수치), 24일 266명, 25일 280명, 26일 230명, 27일 441명(3월 7일 483명 이후 최다), 28일 371명, 29일 323명, 30일 299명, 31일 248명이 추가 확진됐다.
9월 들어서는 1일 235명, 2일 267명, 3일 195명, 4일 198명, 5일 168명, 6일 167명, 7일 119명, 8일 136명, 9일 156명, 10일 155명, 11일 176명, 12일 136명, 13일 121명, 14일 109명, 15일 106명, 16일 113명, 17일 153명, 18일 126명, 19일 110명 등 19일 연속 세 자릿수에 이어, 20일 82명, 21일 70명, 22일 61명 등 사흘째 두 자릿수, 23일 110명, 24일 125명, 25일 114명 등 사흘째 세 자릿수, 26일 61명, 27일 95명, 28일 50명, 29일 38명 등 나흘째 두 자릿수에 이어, 30일 113명으로 닷새만에 세 자릿수로 돌아섰다.
특히 8월 14일부터 9월 19일까지 27일째 세 자릿수를 기록하며 추가 확진자가 총 8천206명이 나왔었다.
10월 들어서는 1일 77명, 2일 63명, 3일 75명, 4일 64명, 5일 73명, 6일 75명, 7일 114명, 8일 69명, 9일 54명, 10일 72명, 11일 58명, 12일 97명, 13일 102명, 14일 84명, 15일 110명, 16명 47명, 17일 73명, 18일 91명, 19일 76명, 20일 58명, 21일 91명, 22일 121명, 23일 155명, 24일 77명, 25일 61명, 26일 119명, 27일 88명, 28일 103명, 29일 125명, 30일 114명, 31일 127명의 추가 확진자가 나왔다.
11월 들어서는 1일 124명, 2일 97명, 3일 75명, 4일 118명, 5일 125명, 6일 145명, 7일 89명, 8일 143명, 9일 126명, 10일 100명, 11일 146명, 12일 143명, 13일 191명, 14일 208명, 15일 208명, 16일 223명, 17일 230명, 18일 313명, 19일 343명, 20일 363명, 21일 386명, 22일 330명, 23일 271명, 24일 349명, 25일 382명, 26일 582명, 27일 569명, 28일 504명, 29일 450명, 30일 438명으로 23일째 세 자릿수를 기록했고, 이틀째 400명대를 기록했다.
12월 들어서는 1일 451명, 2일 511명, 3일 540명, 4일 629명으로 지난 3월 3일(600명) 이후 9개월 만에 600명대를 기록했고, 5일 583명으로 하루 만에 500명대로 돌아섰다가 6일 631명, 7일 615명, 8일 594명, 9일 686명, 10일 682명, 11일 689명, 12일 950명, 13일 1천40명. 14일 718명, 15일 880명, 16일 1천78명, 17일 1천14명, 18일 1천62명, 19일 1천53명, 20일 1천97명, 21일 926명, 22일 869명, 23일 1천92명, 24일 985명, 25일 1천241명(최다 발생), 26일 1천132명, 27일 970명, 28일 808명, 29일 1천46명, 30일 1천50명, 31일 967명으로, 추가 확진자는 지난 11월 8일 143명 이후 55일째 세 자릿수 이상이 이어졌다.
한편, 국내 코로나19 발생 현황을 보면, 완치지 수가 격리중인 환자 수를 추월하는 것은 지난해 3월 28일이며, 같은해 1월 20일 국내 첫 코로나19 환자가 발생한 지 68일째 였다.
방역당국에서는 특히 인구 밀집도가 높은 수도권 지역 유흥시설, 실내운동시설, 작은 공간에서의 소모임, 교회 등에서 언제든지 집단감염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만큼 모임 자제 및 개인별 방역 수칙을 철저히 지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방역당국은 누차 강조하고 있다. 첫 번째 방역수칙으로 개인별 마스크 착용과 손씻기를 거듭 당부하고 있다.
방역당국에서는 조용한 감염자에 의한 집단감염 차단을 위해 ‘생활 속 거리 두기’에 따른 마스크 착용 및 손씻기 등 개인 위생 수칙 준수에 국민적 동참을 당부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11월 7일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와의 장기전에 대비해 지속가능한 방역 체계를 도입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 ‘사회적 거리두기’ 체계를 현행 3단계에서 5단계로 세분화해 시행했다. ▶관련기사 클릭
정부는 코로나19 확산세가 급증하면서 수도권의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지난해 11월 24일부터 2단계로 격상했고, 12월 8일부터 2.5단계로 격상했으며, 비수도권은 2단계로 일제 상향해 12월 31일까지 3주간 시행한 바 있다.
특히 수도권의 5인 이상 사적 모임 금지’는 지난해 12월 23일부터 시행됐으며, 1월 4~17일까지 5명 이상 사적 모임을 금지하는 조치를 전국으로 확대했다.
이어, 2월 15일부터 수도권 거리두기는 2단계, 비수도권 지역은 1.5단계로 완화했고, 수도권 다중이용시설도 밤 10시까지로 영업 제한을 완화한 가운데 2인 이상 모임 금지는 그대로 유지됐으며, 현재는 수도권은 2단계, 비수도권은 1.5단계와 5인 이상 사적 모임 금지 등이 5월 23일까지 시행되고 있다. ▶관련기사 클릭
한편,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지난 3월 2일부터 ‘코로나19’ 일별 환자 발생 통계를 ‘0시’ 기준으로 홈페이지에 발표하고, 오후 2시에는 정례브리핑을 기존대로 실시하고 있으며, 3월 10일부터는 오후 5시에 오후 4시 기준으로 언론에 공개한 확진자 추가 현황은 공개하지 않으면서, 3월 11일부터는 매일 오전 10시에 그날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일별 환자 통계를 발표하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 일환으로 3월 23일부터 비대면(非對面) 온라인 방식으로 전환돼 진행한 브리핑은 5월 6일부터는 코로나19 감염 확산 정도에 따라 온ㆍ오프라인으로 전환해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