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기후자원 2010-08-10 6757
온실가스란 인간의 활동에 의해 배출되어 대기 중에 존재하면서 지구에서 복사되는 적외선을 흡수함으로써 온실효과를 직접 일으키는 물질이다.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육불화황(SF6), 수소불화탄소 (HFCs), 과불화탄소(PFCs), 염화불화탄소(CFCs)등이 있으며 온실가스로 지정되지는 않았지만 중요한 온실효과 유발물질로 수증기가 있다.
산업혁명 이래 인간의 활동으로 발생한 온실효과 유발가스인 이산화탄소나 메탄의 대기 중 농도는 각각 36%와 148%로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2007년의 전 지구 평균 이산화탄소 농도는 383.1 ppm으로 연평균 증가율이 2.0 ppm(1998-2007) , 메탄은 전 지구 평균농도가 1,789 ppb로 연평균(1998-2007) 증가율이 2.7 ppb이었다.
이 같은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의 75%는 화석연료의 사용에 기인된 것이며, 나머지 대부분은 벌목에 의한 산림파괴 등 토지이용의 변화가 원인이다. IPCC 보고서 (IPCC, 2006)에 의하면 인간의 생활이 지금과 같이 화석연료에 과도하게 의존할 경우 지금과 같은 기온상승은 더욱 심화되어 금세기말(2090-2099)에는 지구평균 온도는 최대 6.4℃, 해수면은 59 ㎝가 상승하며, 이산화탄소 농도는 541~970 ppm에 이를 것이라고 보고했다.

출처)농촌진흥청 농과원 기후자원연구실
농촌지역 바이오매스 활용방안-농촌지역에 바이오매스 종류 및 발생량
농촌지역 바이오매스 활용방안-바이오매스는 어떻게 이용되고 있나
· 부천시, 민선 8기 10대 성과 발표… ‘..
· 제29회 부천판타스틱영화제 개막작 ‘..
· ‘경기형 과학고’ 부천·성남·시흥·..
· 농협 부천축산물공판장·나눔축산운동..
· 부천시, ‘지역사회 통합돌봄협의체’..
· 부천시, 카이스트(KAIST)ㆍ부천도시공..
· GH 여자레슬링팀, 올해 전국대회 3연속..
· 경기도교육청, ‘2025 경기 장애학생 ..